-
목차
신생아 황달, 언제까지 지켜봐야 할까?
태어난 아기의 피부가 노르스름하게 변할 때, 부모는 심장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이거 황달 아니야?”라는 생각과 함께, 수많은 검색을 하게 되죠.
하지만 황달은 신생아 시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이며, 모든 황달이 반드시 위험한 건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떤 황달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어떤 황달은 주의 깊게 지켜보다 병원 진료가 필요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초보 부모님이 반드시 알아야 할 신생아 황달의 이해, 원인, 분류, 지켜봐야 할 시기와 대처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
황달이란 무엇인가요?
황달(Jaundice)은 아기의 피부와 눈의 흰자(공막)가 노랗게 변색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체내 빌리루빈(Bilirubin) 수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성되는 노폐물입니다.
신생아의 경우, 간 기능이 아직 미성숙하여 빌리루빈을 빠르게 처리하지 못하고 몸에 축적되면서 황달이 나타나는 것이죠.
생리적 황달 vs 병리적 황달
신생아 황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생리적 황달
- 생후 2~3일쯤 시작하여 7일 이내에 가장 심해지고, 보통 2주 안에 사라집니다.
- 모든 신생아의 약 60% 이상에게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생리 현상입니다.
- 전신 상태가 양호하고, 수유도 잘하며 활력이 있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병리적 황달
- 생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
- 빌리루빈 수치가 너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일정 수치 이상일 때
-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오히려 심해질 때
- 아기가 축 처지고 수유를 거부하며, 전반적인 활력이 떨어질 때
병리적 황달은 치료가 필요하며, 방치 시 뇌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잘 구별하고 빠르게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빌리루빈 수치 기준과 황달 진단
병원에서는 보통 혈액 검사를 통해 총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합니다. 그 수치에 따라 황달의 정도를 판단하죠.
- 0~5mg/dL: 정상 범위
- 6~12mg/dL: 생리적 황달 가능성 (지켜보며 수유 증가)
- 13mg/dL 이상: 병리적 황달 가능성 (광선치료 고려)
물론 수치는 아기의 체중, 생후 일수, 조산 여부에 따라 다르므로 의사의 판단과 함께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황달이 생기는 주요 원인
- 미성숙한 간 기능
- 모유 수유 황달 (모유 성분에 반응)
- 출생 전후 멍·피부 출혈
- 혈액형 부적합 (엄마와 아기 혈액형 충돌)
- 감염성 질환, 유전성 대사 질환
이 중에서 생리적 황달은 대부분 자연 회복되지만, 감염이나 유전적 요인이 의심된다면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언제까지 지켜봐야 할까?
일반적으로 생리적 황달은 생후 7일~10일 사이 가장 심하고, 보통 생후 2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사라집니다.
모유수유 황달의 경우 3~4주까지 지속될 수 있지만, 아기의 성장과 활력이 정상이라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병원을 꼭 방문**해야 합니다:
- 생후 24시간 내에 황달이 나타난 경우
- 황달이 점점 진해지며 사라질 기미가 없는 경우
- 피부뿐 아니라 눈 흰자까지 뚜렷하게 노란색을 띨 때
- 수유를 거부하거나, 아기가 잘 깨지 않고 축 늘어져 있는 경우
-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되면서 심해지는 경우
황달이 걱정될 때, 부모가 할 수 있는 것
1. 수유를 자주 시키세요
빌리루빈은 간을 통해 배설되므로 배변과 소변으로 빠르게 배출되면 황달 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수유 간격을 2~3시간 이내로 유지하며 충분한 수분과 영양 공급이 필요해요.
2. 자연광 쬐이기
의료적 광선 치료만큼은 아니더라도, 간접적인 햇빛(아침 햇살 등)을 통해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단, 직사광선은 피하고 10~15분만 노출되도록 해주세요.
3. 피부색 변화 관찰하기
트림이나 기저귀 교체 시 아기의 가슴, 배, 다리 피부색을 확인해 보세요.
손으로 눌렀을 때 하얗게 돌아오지 않고 노란기가 남아 있다면 황달이 진행 중일 수 있습니다.
4. 증상 일지를 간단히 기록
황달이 보인 날, 수유량, 배변 상태, 활력 상태 등을 간단히 메모해 두면 병원 방문 시 큰 도움이 됩니다.
신생아 황달은 대부분의 아기가 겪는 자연스러운 통과 의례일 수 있어요.
하지만 그 안에도 드물게 병리적 문제들이 숨어 있기 때문에, 초보 부모일수록 더 신중하고 따뜻하게 관찰하는 자세가 필요하죠.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고 넘기지 않고, “혹시 몰라 병원에 가보자”라고 행동하는 것이 엄마 아빠가 아기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입니다.
아기를 위한 그 작은 걱정 하나가 결국은 건강하고 밝은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것, 마망님은 이미 잘 알고 계시죠?
오늘도 아기와 함께 차분하고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신생아 건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방접종 언제? 무엇을? 초보 부모를 위한 접종 일정표 (0) 2025.04.11 아기 수면 습관 길들이기 – 오늘부터 시작하는 루틴 만들기 (1) 2025.04.11 신생아 트림, 꼭 해야 할까? 안 했을 때 생기는 문제는? (0) 2025.04.11 모유수유 통증, 참지 마세요! 유두통·젖몸살 해결법 총정리 (0) 2025.04.10 “너는 사랑받고 있어” 애착 육아로 만드는 안정감의 시작 (0)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