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2024-11-01부터 난임 시술(체외·인공수정)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이 **나이와 상관없이 30%**로 낮아졌습니다.
또 **지원 횟수는 “부부당 25회 → 출산당 25회”**로 확대돼 둘째‧셋째 임신 때도 동일 혜택을 받습니다.
신청은 난임 진단서와 함께 병·의원에서 자동 청구되며, 지방자치단체 추가 지원으로 실부담 ‘0원’ 사례도 가능합니다.
정책 한눈에 보기
구분 2024-10-31까지 2024-11-01 이후본인부담률 45세 미만 30%
45세 이상 50%전 연령 30% 지원 한도 부부당 25회 출산당 25회 시술 중단(공난포 등) 건강보험 차감·지원불가 차감 없음, 지원 지속 사실혼 부부 일부 지자체만 지원 전국 지원 자료: 보건복지부, 2024-09 제도 개편 안내문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베스트오브미여성의원
대상‧자격 요건
- 난임 진단(1년 이상 자연임신 실패) – 전문의 진단서 필수
- 주민등록상 내국인 부부 또는 사실혼 부부
- 이전 시술 기록이 있어도 출산 후라면 회수 초기화
- 건강보험 자격 미취득자·피부양자도 동일 적용
혜택 상세 분석
1. 본인부담 30% 적용 범위
2. 지원 횟수와 전략
자녀 수 태아 번호사용 가능 횟수 추천 전략첫째 #1 IVF 20회 + IUI 5회 기회 25회 모두 활용 둘째 #2 동일 (새 25회) 특정 약제·검사 제외 시 본인부담 ‘0원’ 가능 셋째 #3 동일 다자녀 지자체 추가 지원 병행
시나리오별 비용 절감 계산
상황 2024년 이전 (45세 여성) 2025년 현재 절감액체외수정 1회(총 350만 원) 50% = 175만 30% = 105만 -70만 인공수정 1회(총 90만 원) 50% = 45만 30% = 27만 -18만 ※ 지자체 추가 지원(서울 90%, 경기 80% 등)을 합치면 실부담 0~10 만 원 수준 네이버 블로그
신청 절차 Step-by-Step
- 난임 진단서 발급 – 전문의 진료
- 보건소 방문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결정통지서 수령
- 병‧의원 접수 – 통지서‧신분증 제출, 본인부담 30% 자동 적용
- 사후 정산 – 지자체 추가 지원 있으면 시술 후 영수증 등록
지역별 추가 지원 한눈에
지자체 추가 보조율 한도 특이사항서울 건강보험 초과분 90% 회당 50만 소득 무관 경기 초과분 80% 회당 40만 이주여성 포함 부산 정액 30만 10회 전출 시 지원 종료
주의사항 & Q&A
질문 답변45세 이상인데 이미 3회 시술, 남은 22회에도 30% 적용? 예, 24-11-01 이후 시작분부터 30%로 인하됨. 기존 50%는 소급 안 됨. 서울신문 공난포로 시술 중단되면 횟수 차감? 차감 안 됨, 본인부담도 면제. 베스트오브미여성의원 사실혼 부부 신청 방법? 혼인신고 대신 시·구·군 사실혼 확인서 제출하면 동일 혜택. 남성 난임 검사도 지원되나? 정액검사 등 일부는 건강보험 30% 적용, 자가혈검사는 제외. 임신 성공 후 추가 임신 계획 시? 출산일 기준 새 회수 25회가 자동 부여. 매일경제
30% 본인부담은 난임 부부에게 “반값” 그 이상의 체감 혜택입니다.
지금 바로 가까운 산부인과에서 난임 진단서를 발급받고, 보건소 통지서를 준비해 보세요.'임신&출산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난임 휴가 도입 완벽 가이드: 3일 → 6일, 첫 2일 유급! 신청·급여 지원까지 한눈에 (0) 2025.05.23 소득 제한 NO! 난임 치료비 국가가 책임집니다 (2025 개편) (0) 2025.05.21 2025년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예비맘을 위한 필수 제도 (0) 2025.05.01 2025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쌍둥이·저소득층 더 많은 혜택 (0) 2025.04.30 2025년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입원·치료비 부담 확 줄이기 (0)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