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25년 말복(8월 9일) 보양식 가이드

moma26 2025. 8. 1. 11:31

말복이란?

삼복(三伏) 가운데 마지막 복날로, 음력 6·7월 사이에 찾아오는 가장 무더운 시기다. 2025년 말복은 **8월 9일(토)**이며, 초복(7월 20일)·중복(7월 30일)과 10일 간격으로 이어진다. 니타스의 생활이야기


말복

왜 ‘보양식’을 찾을까?

무더위에는 땀으로 빠져나간 수분과 미네랄, 기력을 빠르게 보충할 필요가 있다. 한국 전통 식문화는 ‘이열치열(以熱治熱)’ 원리에 따라 따뜻하고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 체온 조절과 면역 강화를 도왔다.


말복 대표 보양식 6선 

  1. 전복 삼계탕
    ‘바다의 산삼’이라 불리는 전복이 통째로 들어가 닭고기의 고단백·저지방 영양과 타우린·비타민을 한 번에 챙길 수 있다.
  2. 기력 회복과 피로 해소에 가장 많이 찾는 스테디셀러 메뉴다.
  3. 민어 매운탕·찜
    여름이 제철인 민어는 담백하면서도 깊은 감칠맛을 자랑한다. 불포화지방산과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해 소화 부담이 적고,
  4. 수분과 무기질 보충에도 좋다.
  5. 오리 백숙·로스구이
    오리고기는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혈관 건강을 도우면서도 칼로리 부담은 낮다. 체내 열을 내려주는 ‘서늘한 성질’을
  6. 지녀 더위로 뜨거워진 몸을 식혀 준다.
  7. 풍천장어 구이
    비타민 A·E, 칼슘, 오메가-3 DHA·EPA가 고루 들어 있어 자양강장과 혈관 노화 방지에 탁월하다. 지방 대부분이 불포화지방이라 스태미너 식단으로 인기다.
  8. 추어탕
    미꾸라지를 갈아 푹 끓여내 단백질과 칼슘·비타민B군을 한꺼번에 섭취할 수 있다. 위에 부담이 적어 더위로 기력이 떨어졌을
  9. 때 속을 편안히 데워 준다.
  10. 영양밥·약선 한정식
    밤·대추·은행·잣 같은 견과류와 인삼·더덕 등 약재를 넣어 지은 밥 한 그릇이면 무기질과 항산화 물질을 균형 있게 보충할 수
  11. 있다. 입맛이 없을 때 든든한 한상으로 제격이다.

무더위를 이겨내는 ‘이열치열’ 보양식을 취향에 맞춰 즐기며, 8월 9일 말복 하루를 기력 충전의 기회로 삼아 보세요!

 

보충 정보

  • 삼계탕의 과학적 효능
    단백질·비타민 B군이 체력 강화와 에너지 대사를 돕고, 약재(인삼·대추·황기 등)의 사포닌은 면역 증진 및 피로 회복을 지원한다. 핑온의 정보 보따리
  • 장어의 건강 포인트
    불포화지방산이 혈관 노화를 억제하고, 아르기닌·뮤신은 스태미너 증강 및 피부탄력 유지에 긍정적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말복 식단에 활용하기

  1. 이열치열: 뜨겁게 끓인 국물요리는 땀 배출을 도와 체온 조절에 효과적이다.
  2. 균형 섭취: 고기·해산물·채소를 한 끼에 조합해 단백질과 미네랄을 고루 챙기면 영양 흡수율이 높아진다.
  3. 수분 보충: 보양식 섭취 뒤에는 생수·보리차·오미자차 등으로 체내 수분을 충분히 보강한다.

식품 안전 체크

  • 육류·해산물은 75 ℃ 이상 가열 후 섭취.
  • 생선·장어는 냉장 2일, 냉동 2주 이내 조리권장.
  • 남은 국물은 한 번에 식힌 뒤 냉장 보관하고 재가열해 먹기.

말복 한 끼의 보양식은 단순한 ‘몸보신’을 넘어, 무더운 여름을 이겨내는 우리 고유의 생활지혜다. 8월 9일, 가족·지인과 든든한 보양식을 나누며 더위의 피날레를 건강하게 마무리해 보자.